대용량 트래픽 발생시 대응 방안
- 로드 밸런싱
- 여러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시켜 단일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시스템의 가용성과 처리 능력을 향상 시킨다. - 서버확장
- 수평적 확장(스케일 아웃) : 서버를 추가하여 처리능력을 확장
- 수직적 확장(스케일 업) : 기존 서버의 성능을 향상 시켜 대응 -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 인텍싱, 쿼리 최적화, 캐싱, 데이터 분할(샤딩)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응답 시간을 단축하고 처리 능력을 향상 시킴 - 캐싱
-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 - 비동기처리
- 시간이 오래걸리는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하여 시스템의 응답성을 향상시킨다 - 서비스 분리
- 목적별로 서비스를 분리하여 각 서비스의 부하를 관리하고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인다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사용
- 정적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제공하여 로딩 시간을 단축 -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탄력적인 리소스 관리가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트래픽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 - 코드 최적화
-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최적화 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 시켜 대응
'개발일기 > CS(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의 차이란? (0) | 2024.07.30 |
---|---|
GET,POST의 개념과 데이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해라 (0) | 2024.07.29 |
DI와 IoC이란? // 객체지향 프로그램밍이란 ? (0) | 2024.07.25 |
TCP/UDP란? // http,https의 차이점은? (1) | 2024.07.24 |
브라우저의 작동방식과 쿠키와 세션이란? (3)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