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요약
추상화
어떤 양상, 세부 사항, 구조를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 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추상화는 두 차원에서 이뤄진다.
첫 번째 차원은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하게 만드는 것
두 번째 차원은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하게 만드는 것
모든 경우에는 추상화의 목적은 복잡성을 이해하기 쉬운 수준으로 단순화하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개념
공통점을 기반으로 객체들을 묶기 위한 그릇을 개념이라고 한다. 개념이란 일번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다양한 사물이나 객체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관념을 뜻한다.
이런 개념을 이용하면 객체를 여러 그룹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분류된 객체는 특정한 개념을 표현하는 그룹의 일원으로 포함된다. 이처럼 객체에 어떤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개념 그룹의 일원이 될 때 객체를 그 개념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따라서 객체를 다음과 같이 정이할 수도 있다.
- 객체란 특정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을 의미한다. 개념이 객체에 적용됐을 때 객체를 개념의 인스턴스라 한다.
개념의 세가지 관점
심볼:개념을 가리키는 간략한 이름이나 명칭
내연:개념의 완전한 정의를 나타내며 내연의 의미를 이용해 객체가 개념에 속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외연:개념에 속하는 모든 객체의 집합
타입
타입은 개념이다.. 개념이라는 단어 자체는 우리 일상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컴퓨터공학자들은 개념을 좀 더 멋지게 표현하기 위해 수학으로 차용해왔다 그것이 타입이다.
객체와 타입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우리는 객체를 약간 일종의 데이터처럼 사용한다. 따라서 객체를 타입에 따라 분류하고 그타입에 이름을 붙이는 것은 결국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선언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객체는 데이터인가 하면 아니다. 우린 객체에서 중요한것이 객체의 행동인 것을 기억해야한다.
객체의 타입을 얘기할때도 데이터 타입에서 언급한 두가지 조언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첫째, 어떤 객체가 어떤 타입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가 수행해야하는 행동이다.
어떤 객체들이 동일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면 그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으로 분류될 수있다.
둘째, 객체의 내부적인 표현은 외부로부터 철저하게 감춰진다. 객체의 행동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만 있다면 객체 내부의 상태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더라도 무방하다.
타입의 계층
타입별로 좀더 세부적으로 나눈다면 일반화/특수화 관계가 있다. 일반화란 좀더 일반적인 개념이고 특수화는 일반적인 개념보다 범위가 더 좁은 개념이다. 이 일반화와 특수화는 동시에 일어난다. 객체지향에서 일반화/특수화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객체의 상태를 표현하는 데이터가 아니라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집합 개념에서 보면 일반화 개념은 특수화 개념을 포함하고있다. 이때 더 일반적인 타입을 슈퍼 타입이라 명하고 특수화는 서브 타입이라 한다.일반적으로 서브타입은 슈퍼타입의 행위와 호환되기 떄문에 서브타입은 슈퍼타입을 대체할 수 있다. 음... 예를 들어 이 책에서는 이상한나라의 엘리스 속 트럼프 카드를 예를 들었는데 트럼프 인간은 결국 트럼프이기때문에 납작 엎드리거나 뒤집어지는 경우만 있다면 트럼프 인간은 트럼프를 대체하더라도 괜찮다.